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한민국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一人詩爲(일인시위) ‘청년정신’

  • 작성일 2017-10-01
  • 조회수 1,064

[기획]

 


포에트리 슬램이란?

시를 쓴 후 이를 슬램의 형태로 표현하는 것.
2차 대전 이후 시인과 래퍼들이 이를 세상을 향한 발화형태로 표현하기 시작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一 人 詩 爲 (일인시위) ‘청년정신’ - Poetic Justice

 

 

 

 

 

수능시험

 

제이크

 

 

1
오늘은
사람이 아닌 것을 배우는 날
목숨으로 시험을 보는 것처럼
다리에서 뛰어내리지
강물 안
빈 답안에 몸을 넣으면
푸르게 부어져. 아니면
아파트 앞 보도블록에
빨갛게 납작 엎드려.

 

수업에 1등이 될 순 없지만
높이뛰기는 이길 수 있지.
수학 3등
영어 4등
언어 8등
자살 1등
엄마, 마침내 내가 자랑스러워?
내가 죽은 후
프로게이머나 유튜브 스타로
다시 태어날 수 있을까?
이 삶에 모든 사람들
나의 등급을 알지
죽음엔 한도가 없어

 

 

2
아파트 옥상
어린 새들이 가득한 상자를
풀어 놓는다
날아가라! 날아가라!
눈 안에 천사를 만들며,
두 팔을 펼치면서.
성형수술을 하기 위해 날아가라
내 아빠의 월급은 형편없어
나랑 결혼하고 싶은 남자는 찾을 수 없지
나는 얼굴이 너무 커. 내 눈은 너무 작아
V-Line 대신 내 얼굴은 Q
S-Line 대신 내 몸은 W다
난 토끼 같은 아이유 표정을 해도
아무도 귀엽다고 생각하지 않아
가슴이 더 커지는 기도를
예수에게 빌어 보지만
아침마다 베개에 떨어진 머리털이 많아
잃어버린 털 둘로 나누고
살았던 날들로 곱셈하고
혀가 하얗게 될 때까지
이 방정식을 영어로 되풀이 한다

 

떡볶이는 영어로 말하면 쌀 케이크란 뜻이야
그런데 영어에선 케이크는 모두가 단맛이야
난 매운 떡볶이 좋아 치즈랑

 

 

3
배고파
늘 배가 고파
죽은 후에
난 못 먹은 떡볶이를 생각하면
눈물이 나
못 먹은 떡볶이도 날 생각하면
눈물이 날까?
떡볶이 눈이 있다면 빨갛고 매울 것 같아
잘린 손목으로 흘러나오는 피도
빨갛고 매웠어.

 

예수는 내 생각과 선택이 좋지 않다는 걸 알아
지옥은 괴롭지만 wifi만 있다면 난 괜찮을 것 같다
걱정하지 마

 

아니면
wifi는 있는데 아무도 wifi 비밀을 알지 못한 곳이 지옥이라면?

 

엄마
신호는 강한 거야
도착하고 와이파이 신호 잘 뜨면 메시지 보낼게
약속해

 


 

The Suneung

 

Jake Levine

 

 

1
Today I am learning how to be a not-person.
Jumping off a bridge is like taking a test
With your entire life.
You fill the blank correctly by inserting your body
In a river and turning it blue
or flattening it to a pancake on the street.
Even though I can’t be first in my class
I can finish first in the high jump.
No. 3 in Math
No 4 in English
No. 8 in Language
No. 1 in Suicide
Mom, finally you will have something I did to be proud of
After I die maybe I can be reborn a pro gramer or a youtube star.
In death I have no limits.
In life everyone knows my rank.

 

 

2
Dropping a box of baby birds
Off of an apartment roof
While screaming “Fly, fly!”
Flapping my arms like making an angel while lying in the snow,
My dad doesn’t make enough money for me to get plastic surgery
So no one will ever want to marry me.
My face is too big. My eyes are ugly.
Instead of a V-line my face is a Q.
Instead of an S-line, my body is a W.
Even if I puff up my cheeks and make a face like a rabbit
No one thinks I’m cute.
I pray to Jesus to make my breasts bigger
But in the morning all I can do
Is count the hairs on my pillow that fell out of my head while I slept.
I divide them by 2
Multiply by the amount of years I have lived
And repeat the whole equation in English
Until my tongue turns white.

 

떡볶이 in English means rice cake, but cake in English
Is sweet. I like 떡복이spicy. With cheese.

 

 

3.
I am hungry.
I am always hungry.
After I die I think of all the 떡볶이I didn’t eat
And it makes me cry.
Maybe the 떡볶이I didn’t eat cries too.
Cries tears, red and spicy.
When I cut my wrists the blood the color of 떡볶이rushes.
Red. Spicy.

 

I know Jesus doesn’t like these thoughts, these choices,
But as long as there is wifi in hell I’ll be okay.

 

Or is hell a place where there is wifi that no one knows the password to?

 

Mom, if the signal is strong
I’ll try and send you a message and check in with you once I get there.
Promise.

 


 

 

 

 

 

 

 

 

새빨간 시

 

 

김상우

 

 

젊은 그때,
왕십리에서 홍대로 가는 전철을 타고 마시러 다녔다

 

플랫폼으로 들어오는 부서지는 사람들
터널 어둠 속에서 불어오는 파도
바람을 가득 씹은 입속에 엉겨 있는 파도의 근육
파도를 물고 있으면 가슴은 정면을 보는 푸른 방파제
아! 입속의 너는 나의 뜨거운 숨이로구나

 

을지로 입구에서 신호 대기하는 너를 본다
문이 닫히고 시청으로 향하는 젊은 2호선
새파란 시작 노트에 빨갛게 끓고 있는 시
2호선 둥근 궤도 위에서 떠돌던 호화롭던 녹색의 밤하늘
아! 시여 우리는 달빛을 향해 이글거리자

 

비가 올 듯 구부정한 홍대 입구
어디론가 가는 8번 출구 사람들

 

 

Crimson Poem

 

 

Kim Sang woo

 

 

When I was young
I would ride the subway from Wangsimni to Hongdae to go out to drink.

 

People breaking apart entering the platform.
A wave sounding in the darkness of the tunnel.
Inside the chewing mouth full of wind, the congealed muscles of the wave.
If you were biting the wave, the heart would face the front of a blue seawall.
Ah! Inside your mouth, my warm breath!

 

You see the sign to wait in line for Euljiro station.
And the door closes, on line 2, so young, heading in the direction of city hall.
A poem that started blue on a note cut to red.
Even on line 2 which is a round track, the night sky of the luxurious green of wandering.
Ah! With poetry we blaze toward the moon!

 

At Hongdae station that is stooped like falling rain
Wherever the people leaving platform 8 are going to
Between cigarette butts and people smoking, that time
Staggers into oblivion.

 

 


 

 

 

 

 

Review

 

김봉현

 

 

김상우의 시는 왠지 동물원 같은 그룹의 노래를 떠오르게 한다. 지하철이 등장하기 때문만은 아니다. 난 그렇게 일차원적인 사람이 아니다. 다시 말해 김상우의 시가 그리는 청년은 ‘2017년의 스무 살’이라는 느낌은 확실히 주지 않는다. 시의 방향성도 명백히 ‘회상’이다. 김상우의 시는 김창기의 노랫말 같기도 하고 아다치 미츠루의 만화에 등장하는 여름 같기도 하다. 그리고 나는 이 시를 읽고 영화 <접속>을 다시 봤다.

 

제이크의 시는 제이크의 시다. 늘 풍자적이고 약간 냉소적이다. 또 일상친화적인 소재를 적절히 잘 활용한다. 이번 시에서 꼽자면 ‘와이파이’ 등이 그렇다. 그는 와이파이로 한 여자 아이의 평범성을 드러낸 뒤 ‘지옥’을 나란히 배치시켜 비극성을 한층 더 드러낸다. 시에서 가장 인상 깊은 구절은 이것이다. “학교 수업에서 1등이 될 순 없지만, 높이뛰기는 전부 다 이길 수 있지 난” 한편, 이번에야말로 동물이 등장하지 않은 최초의 시가 될 수 있었지만 ‘어린 새’나 ‘토끼 같은 표정’ 등의 표현이 등장하며 기대를 무너뜨린다.

 

엠씨메타의 퍼포먼스는 두 곡 모두 지난 회의 <단독생활동물>의 연장선으로 보인다. 랩을 날카롭게 쏘거나 라임을 치열하게 뱉어내기보다는 노래 부르듯, 랩 하듯, 말하듯, 편안하게 작품을 소화한다. 이 두 곡에 한해서 말한다면 그는 마치 래퍼라기보다는 ‘보컬리스트’ 같다. 노래를 부르는 사람이란 뜻이 아니라 말 그대로 인간의 ‘목소리’를 활용하는 예술가라는 의미이다. 정확한 의도를 전달하기 위해 ‘래퍼’보다 더 중립적인 표현이 필요했다. 지금까지의 곡들에서 엠씨메타가 자주 ‘랩 플레이어’로서의 정체성을 드러냈다면, 이 두 곡에서 그는 ‘목소리의 연주자’에 더 가까운 모습이다. 여기에 우열은 없지만 차이는 있고, 그 차이가 이 ‘일인시위 프로젝트’의 새로운 국면을 만들어내는 것 같기도 하다. 팝콘각.

 

 

 

 

 

 

 

 

 

 

 

참여 / 김상우

이리카페 운영자, 시인, 마음 드러머

 

제이크
참여 / 제이크 레빈

아이스크림 황제

 

MC메타
참여 / MC메타

힙합 음악가. 현재 <금기어> 발표 가리온 3집 준비

 

김봉현
참여 / 김봉현

힙합 저널리스트. 대중음악, 그중에서도 힙합에 관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네이버뮤직, 에스콰이어, 씨네21 등에 글을 쓰고 있고 레진코믹스에서는 힙합 웹툰을 연재하고 있다. <서울힙합영화제>를 주최하고 있으며 김경주 시인, MC 메타와 함께 시와 랩을 잇는 프로젝트 팀<포에틱 저스티스>로 활동 중이다.

 

Lei
참여 / Lei

그래픽 디자이너

 

   《문장웹진 2017년 10월호》

 

추천 콘텐츠

산책과 가을의 일

[에세이] 산책과 가을의 일 박주영 오랜만에 동네 산책을 했다. 여름이 시작되고는 햇빛이 사라진 밤 산책을 하다가 그나마도 열대야 때문에 멈춘 지 오래되었다. 오늘은 해가 뜨기 전 일어났고 스탠드를 켠 책상에 앉아 소설을 썼다. 어느새 창밖이 밝아지는 걸 보다가 해가 완전히 뜨기 전에 바깥으로 나가 걷기로 했다. 산책은 어슬렁거리며 그냥 걷는 것이지만 소설가의 산책에는 생각이 없을 수 없다. 생각을 하지 않으려는 목적이었다면 달리기를 했을 것이다. 나는 산책과 걷기를 구분해서 다이어리에 기록한다. 산책이 바라보고 생각하며 이동하는 것이라면 걷기는 건강이라는 목적을 가장 염두에 둔 움직임이다. 여름이 아니라면 산책은 주로 오후나 해질 무렵에 한다. 늦게 자고 오전에만 일어나도 뿌듯한 사람이라 일어나자마자 소설을 쓰고 쉴 즈음이 대개 그 시간이기 때문이다. 산책을 하면서 내가 지금까지 쓴 것을 생각하다가 빈틈을 메울 생각이 떠오르기도 하고 다음 장면을 생각하기도 하고 이 소설이 제대로 가고 있는지 고심하기도 한다. 여름 해가 뜨기 전 오래간만에 소설을 생각하며 산책을 한다. 나는 문학 전공도 아니고 소설 쓰기를 배운 적도 없고 주변에 글 쓰는 사람도 없었다. 그래서 소설가가 된 후 소설가를 만날 기회가 생기면 알고 싶은 것들을 질문하곤 했다. 글쓰기가 잘 안 될 때는 어떻게 하느냐는 질문에 대한 2개의 대답을 기억한다. 한 분은 그냥 걷는다, 라고 답했고 한 분은 안 되어도 앉아서 써야지 어떡해, 라고 했다. 두 분 다 그때 20년 가까이 소설을 거뜬히 써온 분이었다. 나는 2개의 답을 지금껏 생각하고 있고 그게 지금의 나에게는 정답이 되었다. 하지만 정답을 안다고 정답대로 할 수 있는 건 아니다. 나는 자주 책상 앞에서 벗어나고 걷는 것이 아니라 누워 있는다. 그냥 진짜 누워만 있는데, 요즘은 소설 쓰는 일에 자주 지치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또 한 분의 조언이 생각난다. 건강을 챙기고 운동을 해라, 그러지 않으면 장편소설을 쓸 수 없다. 여기의 조건은 ‘나이 들수록’이다. 비교적 늦은 나이에 등단했고 처음부터 장편소설을 썼던 나는 그 조언이 그때는 크게 와 닿지 않았다. 나는 이미 젊지도 않고 약해 빠졌는데 장편소설을 쓰는 데 그리 힘이 들지 않았으니까. 하지만 그 조언의 참 의미는 어떤 고비마다 왔다. 나이는 한 살씩 먹는 게 아니라 쌓여 있다가 한꺼번에 온다는 걸을 알게 되었다. 어느 날부터 손목이 아프기 시작하더니 어느새 허리가 아프기 시작하고 이제 어깨가 아프다. 남들은 여름휴가를 가는 시기 나는 병원을 다녔다. 의사는 어깨 인대가 손상되었다고 했다. 특정 자세를 취하지 말라고 했는데 그 자세는 하필 내가 반평생을 취해 온 자세이다. 지금도 나는 그 자세이다. 자판을 치고 노트에 글을 쓰려면 취할 수밖에 없는 자세. 그리고 의사는 옆으로 눕지 말라고 했다. 그런데 어릴 때부터 나는 그렇게 누운 자세로 책을 읽었다. 너무 크고 두껍고 무거운 책만 그 자세로 읽을

  • 관리자
  • 2024-10-01
다시 서정을 위해

[에세이] 다시 서정을 위해 권상진 스무 살 무렵이었던 것 같다. 서른이 되기 전에 시인이 되겠다고 주변에 떠들고 다녔던 기억이 아슴하다. 「홀로서기」를 외웠고 「지란지교를 꿈꾸며」를 외웠다. 이생진을 읽고 백창우를 읽고 박노해를 읽었다. 잔잔하게 때로는 웅장하게 가슴을 밀고 들어오는 시편들이 심장을 가로세로로 뛰게 만들었다. 백석과 김수영과 기형도의 이름은 몰랐지만 굳이 그들이 아니어도 충만한 시간들이었다. 시집이 이천 원에서 삼천 원 정도 할 때여서 큰 부담 없이 고를 수 있었고 외출할 때 시집 한 권을 들고 밖을 나서도 아무도 이상하게 쳐다보는 이도 없었다. 오히려 뭇 여성들의 시선이 슬쩍슬쩍 내 턱선을 지나 책장에 닿는 기분을 느낄 수 있어 좋았다. 생일이나 기념일에는 으레 서점에 들러 시집을 골랐다. 『넌 가끔가다 내 생각을 하지 난 가끔가다 딴 생각을 해』(원태연), 『그대가 곁에 있어도 나는 그대가 그립다』(류시화), 『친구가 화장실에 갔을 때』(신진호) 같은 시집을 골라 슬쩍 건네던 날들이 아련하다. 스물이라는, 가라앉을 것 하나 없는 맑은 감정에서 속살거리는 말들을 시인들은 대신 말해 내고 있었다. 그러는 동안 십 대는 가고 이십 대가 펼쳐지고 있었다. 고등학교 입시에 실패하고 대학을 쫓겨나 군대를 다녀오고 나니 어느새 아무데도 기댈 수 없는 성인이 되어 있었다. 오래된 가난이 불편하지는 않았지만 그때부터 가난은 나를 가만히 두지를 않았다. 공장 일을 시작했는데 처음 해보는 노동이란 게 미치도록 좋았다. 종일 몸을 쓰고 땀을 흘리는 일이 알 수 없는 쾌감을 안겨 주었고 월급이라는 보상까지 덤으로 안겨 주었다. 시를 읽고 쓰는 일만큼 일이 재미있었고 누구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살아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더없이 좋았다. 지쳐 잠들기 전 문득 돌아본 시의 한때는 짧은 여행지의 추억처럼 아득하기만 했다. 나의 스물은 급류처럼 흘러갔고 시는 둑 너머에 있어 쉽게 손이 닿지 않았다. 하지만 일과 돈, 그리고 자립의 기쁨은 오래가지 않았다. 노동은 즐겁고 땀은 향기로웠지만 갑자기 내가 꿈꾸던 삶이 이런 것이었던가 하는 질문이 나를 툭 한 번 치고 갔다. 해지는 풍경만 봐도 맥박이 난동을 부리고 꽃과 낙엽의 표정을 살피면 왠지 모를 눈물이 맺히던 한 시절의 기억이 불현듯 피곤에 지친 등을 흔들어 깨웠다. 시인이 되겠다던 꿈을 무참히 짓밟고 나를 공장 노동자로 내몰았던 대학교 재단 이사장의 말이 떠올랐다. ‘약속은 지키면 좋은 것이고 못 지키면 어쩔 수 없는 일’이라던 그의 말. 그가 지키지 않은 약속 때문에 학교에서 쫓겨난 나는 궤도를 이탈해 버린 행성처럼 어둠 속으로 무작정 떠밀려가고 있었다. 막막한 혼돈 속으로 나를 밀어 넣었던 약속이란 단어가 다시 나를 수습하고 있었다. 시간은 이미 서른을 지나갔고 아무도 내게 왜 약속을 지키지 않느냐고 물어 보는 이는 없었지만 스스로와의 약속은 끝내 지켜주고 싶었다. 그렇게 시가 다시 내게로 왔다. 세월도 변했고 시도 변해

  • 관리자
  • 2024-10-01
과거를 보는 미래 SF

[에세이] 과거를 보는 미래 SF 곽재식 며칠 전 나는 한 행사에서 SF에 대해 이런저런 이야기를 소개하는 발표를 하나 맡게 되었다. 발표가 다 끝나고 질문 답변 시간이 되었는데 청중 중 한 분이 “SF라면 미래를 생각해 봐야 하는데, 왜 옛날 SF를 소개했느냐?”라고 질문했다. 그날 행사 중에는 답변을 짧게 드렸지만 이 내용은 한번 깊게 따져 볼 만한 재미난 주제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한번 해보려고 한다. 명작 SF로 자주 손꼽히는 1970년대 영화로 <>이라는 할리우드 영화가 있다. 찰턴 헤스턴이 주연을 맡아 대형 영화사에서 배급한 그야말로 정통 할리우드 영화인데 그러면서도 비참한 미래의 모습을 예상해서 보여주는 내용이다. 그 결말도 뻔한 할리우드 영화의 행복한 결말이라고 말하기는 매우 어려운 방향으로 흘러가기에 눈에 뜨이는 영화이기도 하다. 맨 마지막에 주인공이 외치는 대사는 SF 영화사에서 유명한 대사 순위를 꼽으면 상위권에 자주 오를 만큼 잘 알려져 있기도 하다. 이 영화에서 보여주는 미래는 인구가 너무나 빠르게 늘어났기 때문에 멸망해 가고 있는 세상이다. 인구가 너무나 많은 데 비해 식량과 자원은 부족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굶주리고 모든 물자가 부족해 다들 비참하게 살고 있다. 영화 제목인 “소일렌트 그린”이란 식량이 부족한 세상에서 특별히 개발해 보급 중인 신형 인공 식품을 말한다. 그러므로 <>은 19세기 맬서스의 등장 이후 수많은 사람들이 미래 인류의 멸망 시나리오라고 철석같이 밀었던, 맬서스 함정을 정통으로 다룬 영화다.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는데,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성장한다.”라는 말은 어지간하면 한 번쯤 들어 보았을 것이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지구는 망한다, 그러니 사람이 많은 것은 해악이다, 라는 말을 하는 사람을 본 적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이런 생각은 곧 “사람이 곧 모든 파괴의 근원이며, 사람이 없어져야 지구가 살아난다.”는 생각으로도 자주 이어지기도 한다. 재미난 사실은 이 영화에서 다루는 멸망해 가는 미래가 2022년이라는 점이다. <>은 1973년에 개봉된 영화이므로 이 영화에서 말하는 2022년이란 영화가 제작되던 1972년으로부터 50년 후를 말하는 이야기일 것이다. 그런데 이 SF 영화에서 말하는 2022년의 미래라는 시간은, 2024년을 사는 현대의 우리에게는 2년 전의 과거가 되었다. 나는 영화를 보는 과정에서 이렇게 시간의 꼬임을 느낄 수 있다는 사실이 굉장히 신비롭다. 게다가 요즘 이 영화의 내용을 보다 보면 더욱 중요한 사실도 깨달을 수 있다. 실제 2022년이 인구가 너무 많아 식량 부족으로 멸망하는 시간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우리가 겪고 있는 2020년대는 인구가 너무 많은 것이 문제가 아니라 인구 감소와 초고령화가 문제인 시대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만 겪고 있는 문제도 아니다. 한국에서 인구 문제가 워낙 극심하게 나타나

  • 관리자
  • 2024-10-01

댓글 남기기

로그인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을 남겨 주세요!

댓글남기기 작성 가이드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비방 등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주제와 관련 없거나 부적절한 홍보 내용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기타 운영 정책에 어긋나는 내용이 포함될 경우, 사전 고지 없이 노출 제한될 수 있습니다.
0 / 1500

댓글0건